전세계 추진 현황
미국에서 시작된 C-TPAT 제도가 WCO SAFE Framework를 통해 전세계로 확산
초반에는 통관 선진국을 중심으로 제도 성장 → BRICs 및 기타 개도국을 중심으로 전세계로 확대
AEO제도 80개국 도입 및 13개국 도입 준비중
(2018. 06. 기준)
외국의aeo제도
지역 |
국가 |
제도명 |
지역 |
국가 |
제도명 |
Americas and Caribbean(18) |
아르헨티나 |
SAOC(Customs System of Reliable Operators) |
Middle East and Northern Africa(6) |
이집트 |
AEO -Egypt |
볼리비아 |
AEO |
요르단 |
Golden List |
브라질 |
AEO |
모로코 |
AEO |
캐나다 |
PIP(Partners in Protection) |
오만 |
AEO |
콜롬비아 |
AEO |
사우디아라비아 |
Saudi AEO |
코스타리카 |
PROFAC(Customs Facilitation Programme for Reliable Trade) |
튀니지 |
AEO |
도미니카공화국 |
AEO |
Europe(40) |
아제르바이젠 |
AEO |
에콰도르 |
AEO |
안도라 |
AEO |
과테말라 |
AEO |
EU(28개국) |
AEO |
자메이카 |
AEO |
이스라엘 |
AEO |
멕시코 |
AEO |
몰도바 |
AEO |
니카라과 |
AEO |
구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 |
AEO |
파나마 |
AEO |
노르웨이 |
AEO |
페루 |
AEO |
세르비아 |
AEO |
우루과이 |
QEO(Qualified Economic Operator) |
스위스 |
AEO |
미국 |
C-TPAT(Customs-Trade Partnership against Terrorism) |
터키 |
AEO |
파라과이 |
AEO |
모리셔스 |
AEO |
엘살바도르 |
OEASV(El Salvador Authorized Economic Operator) |
러시아 |
AEO |
East and Southern Africa(4) |
부룬디 |
AEO |
조지아 |
AEO |
케냐 |
AEO |
|
|
|
우간다 |
AEO |
|
AEO 도입 준비중 |
남아프리카 |
AEO |
|
칠레 |
AEO pilot |
Asia Pacific(12) |
호주 |
ATT(Australia Trusted Trader Programme) |
|
바레인 |
AEO |
중국 |
AEO |
|
코트디부아르 |
AEO |
홍콩 |
Hong Kong AEO Programme |
|
콩고민주공화국 |
AEO |
인도 |
AEO |
|
앙골라 |
AEO |
인도네시아 |
AEO |
|
보스와나 |
Trans Kalahari Accreditation Scheme |
일본 |
AEO |
|
가나 |
AEO |
한국 |
AEO |
|
세이셜 |
AEO |
말레이시아 |
AEO |
|
방글라데시 |
AEO |
뉴질랜드 |
SES(Secure Exports Scheme) |
|
필리핀 |
AEO |
싱가포르 |
STP(Secure Trade Partnership) |
|
아르메니아 |
AEO |
태국 |
AEO |
|
아이슬란드 |
AEO |
베트남 |
AEO |
|
몬테네그로 |
AEO |